기초 CS 정리36 패리티 비트 / 해밍 코드 패리티 비트 정보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 검사하기 위해 추가하는 비트 오류를 수정하진 않고 찾기만 한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각 문자에 1비트를 더하여 전송한다. 전체 비트에서 짝수 혹은 홀수에 맞도록 비트를 정한다. ex. 짝수 패리티일 때 7비트 데이터가 1010001라면, 1이 3개이므로 짝수로 맞춰주기 위해 1을 하나 더해줌 → 패리티비트 1을 맨 앞에 추가하여 11010001 해밍 코드 데이터 전송 시 1비트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자기 오류 정정 코드를 의미 패리티비트를 보고 1비트에 대한 오류를 정정할 곳을 찾아 수정할 수 있다. 패리티 비트는 오류를 검출하기만 할 뿐 수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수정에는 해밍 코드를 활용한다. ex. 짝수 패리티의 해밍 코드가 0011011일 때 .. 2023. 1. 27.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2가지 방법 \ 1. 고정 소수점(Fixed Point) 소수점이 찍힐 위치를 미리 정해놓고 소수를 표현하는 방식 실수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표현 ex. -3.1415 의 경우 부호(_), 정수(3), 소수(0.1415)가 필요 단순하지만 표현의 범위가 너무 적어서 활용하기 힘들다. \ 2.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실수를 가수부, 지수부로 표현한다. 지수의 값에 따라 소수점이 움직이는 방식을 활용한 실수 표현 방법으로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가 넓어지지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시스템에서 활용 중) 2023. 1. 26.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기억장치로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에서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한 메모리 CPU코어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 현상 완화 웹 브라우저 캐시 파일은 하드디스크와 웹 페이지 사이의 병목 현상 완화 CPU가 주기억장치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때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 뒤 다음에 이용할 때 주기억장치가 아닌 캐시 메모리에서 먼저 가져오면서 속도를 향상시킨다. 다만 용량이 작고, 연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 → 캐시는 플립플롭 소자로 구성되어 SRAM으로 되어 있어서 DRAM보다 빠른 장점을 지닌다. CPU가 요청한 데이터가 캐시에 있으면 Cache Hit, 없어서 DRAM에서 가져오면 Cache Miss Cache.. 2023. 1. 25.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의 시스템은 1. 하드웨어와 2. 소프트웨어로 나누어진다. 1 .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다. *시스템 버스는 데이터와 명령 제어 신호를 각 장치로 실어나르는 역할을 한다 1) 중앙처리장치(CPU) -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 순서를 제어한다. - 산술논리연산장치(ALU) : 비교와 연산을 담당 - 제어장치 :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담당 - 레지스터 : 속도가 빠른 데이터 기억장소 2) 기억장치 - 프로그램, 데이터, 연산의 중간 결과를 저장하는 장치 - 주기억장치 : RAM, ROM 등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 - 보조기억장치 : 하드디스크 등, 속도는 주기억장치.. 2023. 1. 25. 이전 1 ··· 6 7 8 9 다음